학자별로 바라본 사회적 놀이 발달
[목차]
1. Parten - 여섯 가지 사회적 놀이 형태
2. Iwanaga - 네 가지 사회적 놀이 형태
3. Howes의 - 사회적 놀이 다섯 단계
4. Winter의 - 사회적 놀이 네 단계
사회적 놀이의 초기 경험은 주로 양육자인 어머니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어린이는 양육 과정 중에 어머니와 신체적, 언어적으로 긴밀한 접촉을 하면서 사회적 놀이를 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이 발달한다. 어린이가 유치원에 들어갈 연령이 되면 친구들과 함께 어울려 노는 사회적 놀이를 할 수 있다.
1. Parten - 여섯 가지 사회적 놀이 형태
(1) 비참여 행동 - 엄밀한 의미에서 놀이로 볼 수 없는 행동으로 순간적인 흥미에 따라 어떤 것을 몰두해서 바라볼 뿐이다. 흥미 있는 것이 없을 때는 자신의 몸을 만지작거리거나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는 행동을 반복하기도 하며, 또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2) 방관자적 행동 - 다른 친구의 놀이를 지켜보는 것으로 가끔 자신이 구경하고 있는 친구에게 말을 걸거나 질문을 하기도 하며, 제안하기도 한다. 그러나 놀이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는다.
(3) 단독놀이 - 주변에 있는 어린이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위치에서 친구가 사용하는 놀잇감과는 다른 놀잇감을 가지고 혼자서 독자적으로 놀이하는 형태이다.
(4) 병행 놀이 - 주변의 다른 친구들과 동일한 놀이를 하지만 서로 접촉하거나 간섭하지 않고 혼자서 놀이하는 형태이다. 소꿉놀이형식으로 모이지만 혼자서 단독놀이를 한다.
(5) 연합놀이 - 다른 어린이와 함께 노는 집단놀이의 일종으로 이야기를 주고받거나 놀잇감을 빌려주기도 하지만 역할을 분담하거나 놀이 내용이 조직적으로 전개되지는 못한다.
(6) 협동 놀이 - 한두 명의 어린이가 지휘권을 갖고 역할을 서로 분담하여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진행하는 조직적인 놀이이다.
2. Iwanaga - 네 가지 사회적 놀이 형태
(1) 독립적 구조 - 친구와 상호 작용하지 않고 혼자서 노는 놀이 형태이다.
(2) 병행적 구조 - 두 명 이상의 어린이가 동일한 놀이 활동에 참여하며 서로 관심을 보이지만 각자 독자적으로 놀이한다.
(3) 보충적 구조 - 두 명 이상의 어린이가 동일한 놀이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맡아서 놀이한다.
(4) 통합적 구조 - 놀이 친구에 대한 의식이 더욱 강화되어, 맡은 역할을 상호 작용하여 잘 수행할 뿐 아니라 친구의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3. Howes의 - 사회적 놀이 다섯 단계
(1) 병행 놀이 - 다른 영아와 동일한 놀이를 하지만 또래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는 놀이 단계이다.
(2) 호의적 병행 놀이 - 또래와 동일한 놀이를 하면서 눈 맞춤 등의 호의를 보이지만 상대에게 말을 거는 등의 사회적 시도는 하지 않는다.
(3) 단순 사회적 놀이 - 또래와 동일한 놀이를 하면서 미소 짓기, 이야기하기, 놀잇감 빌려주기 등의 사회적 접촉을 하는 단계이다.
(4) 보충적 놀이 - 또래와 협력해서 놀이하면서 서로를 인식할 뿐 사회적 지지를 얻으려고 노력하지는 않는다.
(5) 상호 호혜적 놀이 - 또래와 협력해서 놀이하면서 사회적 지지를 얻으려고 노력한다.
4. Winter의 - 사회적 놀이 네 단계
(1) 독자적 놀이 - 또래와 멀리 떨어져서 서로 외면하고 혼자서 노는 단계
(2) 근접 놀이 - 또래와 가까이에서 놀이하지만 각자 혼자서 노는 단계
(3) 연관 놀이 - 또래의 놀이에 동참하지는 않으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 소통하는 단계
(4) 상호 작용 놀이 - 한 명 이상의 또래와 동일한 놀이를 하면서 대화를 나누는 놀이 단계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의 개념과 발달 이론 (0) | 2023.01.31 |
---|---|
인지적 놀이 발달 (0) | 2023.01.29 |
연령 별 놀이 발달 특징 (0) | 2023.01.28 |
놀이와 어린이의 정서, 창의성 발달 (0) | 2023.01.27 |
놀이와 어린이의 인지, 언어 발달 (0) | 2023.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