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 발달적 관점에서 제시한 놀이 유형
[목차]
1. 기능놀이
(1) 제 1단계 (출생~1개월)
(2) 제 2단계 (1~4개월)
(3) 제 3단계 (4~8개월)
(4) 제 4단계 (8~12개월)
(5) 제 5단계 (12~18개월)
(6) 제 6단계 (19~24개월)
2. 구성놀이
3. 상징놀이
(1) 제 1단계 - 전 상징적 단계
(2) 제 2단계 - 자기 가작화 단계
(3) 제 3단계 - 타인 가작화 단계
(4) 제 4단계 - 결합적 가작화 단계
(5) 제 5단계 - 위계적 가작화 단계
4. 사회극놀이
5. 규칙 있는 게임
1. 기능놀이
감각운동기의 어린이가 기능적인 즐거움을 위해 반복적으로 되풀이하는 단순한 놀이 행동을 뜻한다. 특별한 놀이 기술이나 상징이 포함되지 않는데 피아제는 이 놀이를 연습놀이라 불렀으며 이를 6단계로 세분하였다.
(1) 제 1단계 (출생~1개월)
어린이는 빨기, 잡기 등의 선천적인 반사 행동을 주로 하는데 배고픈 욕구가 충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빨기를 계속하는 등 놀이로 간주할 수 있는 행동이 나타난다. 이러한 놀이 비슷한 행동은 빠는 행동에 숙달되기 위한 적응적 목적에서 행해지므로 진정한 의미의 놀이로 취급될 수 없다.
(2) 제 2단계 (1~4개월)
특별한 동기 없이 반복적인 행동을 한다. 잡기, 던지기, 흔들기 등의 행동을 새로운 상황에 조절하여 학습한 이후에는 잡기나 던지기를 즐기기 위한 목적에서만 하게 된다. 행동에 숙달되는 즐거움과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는 즐거움을 위하여 행동을 반복한다.
(3) 제 3단계 (4~8개월)
진정한 의미의 놀이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이 단계에서 어린이는 놀이의 특징인 동화에 의한 행동을 하게 된다.
(4) 제 4단계 (8~12개월)
이미 학습한 행동들을 새로운 상황에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한다.
(5) 제 5단계 (12~18개월)
결과를 보기 위해서 실험을 시도하는 시기로 여러 가지 시행착오 행동이 나타난다.
(6) 제 6단계 (19~24개월)
외부 세계의 여러 가지 현상을 내적으로 표상화 하여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2. 구성놀이
유아기 어린이는 구성놀이를 많이 한다. 구성놀이는 기능적 활동으로부터 창조적 활동으로의 전환을 뜻한다. 다양한 놀잇감을 활용하여 무엇인가를 창조하는 놀이를 시작한다.
구성놀이의 질을 분석하는 준거 네 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하나의 놀이 주제가 오랫동안 계속되었는가? (시간), 다양한 행동이 하나의 주제로 연결되어 나타났는가? (놀이 내용의 풍부성), 다양한 놀이 자료가 하나의 주제로 연결되어 사용되었는가? (놀이 자료의 다양성), 한 주제 안에서 나타나는 행동들이 연계성 있게 조직화되었는가? (결속성)
3. 상징놀이
무엇을 마시는 시늉을 한다든지 요리를 하는 시늉을 하는 등의 상징놀이가 이루어진다. 상징놀이란 눈에 보이지 않는 대상을 표상하거나 사물이나 상황을 실제와 다르게 변형시켜 표상하는 놀이다. 학자마다 상상놀이, 가상놀이 등의 용어를 사용하며 가작화 요소가 내포된 놀이로 정의하였다.
피아제는 어린이가 인지적으로 불균형 상태에 있고 개념 발달이 미숙한 단계에서 현실을 자신의 욕구에 동화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동화의 한 실례가 상징놀이라고 이야기 했다.
상징놀이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면 다섯 단계로 이야기할 수 있다.
(1) 전 상징적 단계 - 사물의 용도를 인지하여 행동으로 표현하는 가상 행동과 비슷한 행동을 한다.
(2) 자기 가작화 단계 - 자신에 관련된 가상행동을 하는데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 효과음을 내기도 한다.
(3) 타인 가작화 단계 - 가상 행동이 어린이 자신으로부터 타인에게로 분산되는 것을 의미한다. 첫째는 일상생활에서 연습한 가작화 쉐마를 다른 놀잇감이나 사람에게 적용하는 것이며, 둘째는 다른 사람이나 사물의 행동을 가작화 하는 것이다.
(4) 결합적 가작화 단계 - 여러 개의 쉐마가 연속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위계적 가작와 단계 - 가상 행동을 하기 전에 미리 계획을 세우고 이를 말이나 행동으로 표현한다.
4. 사회극 놀이
상징 놀이가 더욱 발전된 놀이 형태로, 한 명 이상의 친구와 함께 참여하는 극놀이이다. 수준 높은 사회극 놀이의 여섯 가지 조건을 살펴보면 이렇다. 가상적인 역할을 언어나 행동으로 표현하는 역할의 가작화, 사물의 용도를 다양하게 가상해서 언어나 행동으로 표현하는 사물의 가작화, 상황이나 행동을 언어로 표현하는 행동과 상황의 가작화, 한 가지 놀이 주제를 적어도 10분간 계속하는 지속성, 동일한 놀이 주제를 가지고 두 명 이상의 놀이 자가 상호 작용, 놀이 주제에 대해 놀이자 간에 하는 언어적 의사소통이 있다.
5. 규칙 있는 게임
어린이의 인지 능력이 발달하면서 규칙 있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어린이가 정해진 규칙을 잘 지키며 게임을 하려면, 규칙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적절하게 적용하며, 주어진 범위 내에서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이유로 특별한 기술이나 특정 내용을 어린이에게 가르치는 데 규칙 있는 게임이 효과적이라고 주장하였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달의 생물학적, 심리 역동적 관점 (0) | 2023.02.01 |
---|---|
아동의 개념과 발달 이론 (0) | 2023.01.31 |
사회적 놀이 발달 (0) | 2023.01.29 |
연령 별 놀이 발달 특징 (0) | 2023.01.28 |
놀이와 어린이의 정서, 창의성 발달 (0) | 2023.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