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전적 놀이 이론]
1. 잉여 에너지 이론
2. 연습 이론
3. 반복 이론
[고전적 놀이 이론]
1. 잉여 에너지 이론
놀이를 잉여 에너지가 뚜렷한 목적 없이 소비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인간은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일을 하게 되는데 기본 욕구가 충족된 후에 남겨진 과잉 에너지의 소비가 놀이라고 생각했다. 어린이는 자신의 생존을 위하여 일해야 하는 입장이 아니기 때문에 과잉 에너지가 많으며, 이러한 과잉 에너지를 놀이로 소모하게 되므로 성인에 비해 더 많은 놀이를 한다. 고등 동물은 하등 동물에 비하여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그 이외의 목적을 위해 에너지를 방출하며 이러한 활동을 놀이라고 보았다. 어린이는 지쳐있을 때라도 새롭고 흥미로운 놀이 기회가 있으면 피로감을 잊고 놀이에 몰두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 잉여 에너지 이론에 대한 비판점
- 어린이의 경우, 에너지 과잉 상태가 아닌 때에도 놀이하는 사실이 이 이론의 모순점.
- 잉여 에너지 이론이 순환 논법과 다르지 않다.
2. 연습 이론
놀이는 아동기의 전유물이며 아동기는 놀이를 위하여 존재한다고 주장함. 고등 동물일수록 놀이를 할 수 있는 기간이 길다고 함. 그 이유는 성인기의 생존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술을 연습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하였다. 하등 동물처럼 특별한 준비 없이 성인기에 필요한 행동을 잘 할 수 있다면 연습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두 살짜리 어린이는 몇 발자국을 걷기 위해 기어가기, 몸 뒤집기, 일어서기 등의 기본 능력을 갖추는 연습을 수없이 해야 한다. 고등 동물일수록 불완전한 선천적 능력을 갖추고 태어나며, 이러한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놀이를 통한 연습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놀이함으로써 미성숙한 본능적 행동이 연습 될 뿐 아니라 이러한 행동들이 점차 정교하게 발달하여 지적 행동으로 변하게 된다고 이야기하였다.
● 연습 이론에 대한 비판점
- 놀이의 기능을 너무 제한시켰다.
3. 반복 이론
인간이 하등 동물에서 진화되었다는 진화론에 근거하고 있다. 아동의 발달 과정에 원생 동물류에서 인간에 이르기까지의 진화 과정이 재현된다고 주장하였다. 아동기의 놀이에도 인류의 전 역사가 반복되어 나타난다고 보았다. 유아기 때의 놀이를 통해 종족적 본능을 다 발산시켜 버림으로써 초기에 획득한 본능이 약화하고 조금 더 복잡한 형태의 행동으로 발전될 수 있다는 놀이의 주요 기능으로 정화를 지적하였다.
● 반복 이론에 대한 비판점
- 어린이들의 놀이에 인간의 진화 과정이 반영되지 않았다.
- 현대의 다양한 놀잇감이나 게임을 통한 놀이의 사회적 학습 측면에 설명될 수 없다.
4. 휴식 이론
인간이 정신적인 피로감을 풀고 휴식하고 싶을 때 놀이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일을 할 때 소모된 에너지를 복구하기 위해서 놀이한다고 주장하였다.
● 휴식 이론에 대한 비판점
- 스트레스가 쌓일 정도로 일을 하지 않는 어린이가 놀이에 열중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적 놀이이론 - 2 (0) | 2023.01.25 |
---|---|
현대적 놀이이론 - 1 (0) | 2023.01.24 |
놀이의 의의 (0) | 2023.01.20 |
놀이의 개념 및 특성 알아보기 (0) | 2023.01.19 |
'놀이' 알아보기 (1) | 2023.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