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현대적 놀이이론 - 2

by 빈이쩡이 2023. 1. 25.
반응형

현대적 놀이 이론 (2)

 

[목차]

 

 

1. 각성 조절 이론

2. 상위 의사 소통 이론

3. 각본 이론

 

 

1. 각성 조절 이론

인간의 각성을 적정 수준에 유지시키려는 중추 신경 조직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놀이를 한다고 설명하는 이론이다. 인간은 자극이 과도한 상황에서는 각성이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고 이로 인해 자극을 감소시키는 활동에 참여한다.

각성을 적정 수준으로 고취시킬 수 있는 자극 추구 활동을 놀이로 간주하였다. , 놀이에서는 새롭고 특이한 방법으로 사물을 사용하고 행동하여서 자극이 증가된다.

다양한 자극에는 운동적 또는 신체적 자극, 지각적 자극, 지적 자극이 포함되는데 어린이는 놀이중에 신기한 인상을 받게 되면 처음에는 새로운 상황의 불확실성을 감지한다. 그러나 점차로 상황의 불확실성이 감소됨에 따라 놀이의 효과는 확실해진다. 흔히 부모들이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불장난이나 괴물놀이를 유아기 어린이들은 즐겨하는데, 어린이들은 이러한 놀이를 통해 놀이가 아닌 다른 활동에서는 얻기 어려운 자극을 찾는다.

 

2. 상위 의사 소통 이론

상위 의사 소통이란 놀이의 여러 가지 상황, 행동, 사물 등을 놀이 친구에게 이해시키고 설명해주기 위한 의사사통으로, 예를 들면 친구에게 우리가 지금 가짜로 싸우는 거라고 그러자.” 라고 말함으로써 자신의 가작화한 행동을 상대방에게 알리는 것이다. 어린이들이 놀이중에 하는 행동은 실제 생활에서의 행동과 그 의미가 다르다. 어린이가 ᄊᆞ움놀이를 하면서 친구를 때리는 행동은 실제로 친구를 때리는 것과 매우 다른 의미를 갖는다. 어린이는 싸움놀이를 하기 전에 다른 사람들이 실제 상황이 아님을 알 수 있도록 놀이의 틀 또는 배경을 설정한다. 만일 놀이 배경이 설정되지 않는다면 놀이중에 가짜로 때리는 것을 실제로 때리는 것으로 오해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행동이 실제가 아니라 단지 놀이중에 하는 행동임을 전달해야 한다. 이와 같이 어린이가 놀이를 하면서 상위 의사 소통 경험을 함으로써 자신이 맡은 역할에 짜맞추는 능력이 촉진된다고 하였다.

 

3, 각본 이론

각본 이론에 의하면 놀이에는 어린이의 개인적 경험에 대한 지식이 나타난다고 한다. , 어린이가 성숙해지면 경험에 근거하여 사건을 구성할 수 있게 되는데, 경험에 대한 어린이의 해석이 놀이 내용으로 표현된다는 것이다. 각본은 규모가 큰 활동, 예를 들어 가게에 가거나 바닷가에 놀러가는 활동을 구성하는 하위 활동이나 장면의 지식 연결망을 의미한다. 각본의 구성 요소는 장면, 하위활동, 역할과 관계, 장면 내에서의 소품, 각본의 변형, 각본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는 사회 생활 조건 등이다.

어린이의 극놀이를 각본으로 간주하고, 놀이중에 표현되는 이야기 조직의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어린이의 인지 발달과 언어 발달의 지표를 제시하였다. 놀이의 이야기 조직은 쉐마 수준, 사건 각본 수준, 에피소드 수준등 세 가지 수준으로 구성된다. 쉐마 수준에서 어린이들은 한 가지의 소규모 사건에 관련되는 한두 가지의 단순한 행동을 한다. 사건 각본 수준에서는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가지 이상의 쉐마를 행한다. 마지막으로 에피소드 수준에서는 한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가지 이상의 사건 각본을 행한다. 이러한 이야기 조직 수준을 통하여 어린이의 인지적, 언어적 성숙도와 자아 개념, 성격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반응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놀이와 어린이의 인지, 언어 발달  (0) 2023.01.27
놀이와 어린이의 신체, 사회성 발달  (0) 2023.01.26
현대적 놀이이론 - 1  (0) 2023.01.24
고전적 놀이 이론  (0) 2023.01.22
놀이의 의의  (0) 2023.01.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