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2

영아기 신체 발달 1. 영아기 신체 발달 생후 첫 2년 동안 매우 급격하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진다. 특정 신체 활동을 하게 되는 시기에는 개인차가 있지만 신체발달 과정은 동일한 순서를 거친다. (1) 신체발달의 방향 신체발달의 방향에는 머리-다리 방향과 중심-말초 방향이 있다. [머리-다리 방향] 신체발달은 머리에서 발 쪽으로 진행된다. 즉, 머리에서부터 목, 어깨, 몸 아래 방향으로 발달이 이루어진다. 태내기와 영아기 초기에는 전체 몸에서 머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크다가 점차 다리가 길어지게 된다. 이 같은 현상은 머리 부위에서도 나타나는데, 머리의 윗부분에 있는 눈과 뇌가 아랫부분에 있는 턱보다 더 빠르게 성장한다. 감각발달과 운동발달 또한 이 원칙에 따라 진행된다. 영아들은 자신의 신체를 통제할 수 있기 이전에도 .. 2023. 2. 9.
신생아기의 생리적 기능과 지각 능력, 발달 측정 방법 1. 생리적 기능 (1) 호흡과 맥박 신생아의 호흡은 1분에 평균 40~45회 정도이고, 자라면서 점차 줄어들어 성인이 되면 18회가량이 된다. 신생아의 호흡은 얕고 불규칙하며 딸꾹질과 재채기를 하기도 한다. (2) 소화 및 배설 출생 당시부터 이미 소화 효소를 분비하고 있어 음식물을 충분히 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모양이 수직 형태여서 많이 먹으면 토하기 때문에 자주 수유를 해야 한다. 출산 후 1~2일에는 산모에게서 누르스름한 초유가 나오는데, 초유는 태변의 배설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각종 질병에 대한 항체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아기에게 먹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출행 후 1~2일에 신생아는 하루에 4~5회 검녹색의 태변을 배설하며, 소변을 하루 18회 정도 보는데 신생아의 소변에는 요산.. 2023. 2. 8.
신생아기의 신체특징과 반사능력 1. 신체 특징 (1) 키와 몸무게 우리나라 아기의 출생 시 평균 키는 50.8cm이고, 평균 몸무게는 3.2kg이다. 임신 후 정확하게 280일 만에 아기가 태어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신생아의 발달 정도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다. 출생 시 아기의 크기는 부모의 체격이나 어머니의 영양 및 건강 상태와 관련이 있다. 대체로 남아가 여아보다 좀 더 큰 경향이 있으며, 첫째 아기보다 나중에 태어난 아기가 체중이 더 많이 나가는 경향이 있다. 신생아의 신체 비율은 머리 길이가 키의 약 1/4 정도가 되며, 가슴둘레가 머리둘레보다 조금 더 크다. (2) 골 격 신생아의 뼈는 연골이 많고 두개골도 아직 완전히 형성되지 않아서 말랑말랑한 숫구멍이 6개 있다. 출생 후에 뼈가 급속하게 발달하여 생후 18개월이 지나야 .. 2023. 2. 7.
출산 시 나타나는 문제와 산후 적응 1. 출산 시 야기될 수 있는 문제 (1) 산소결핍증 산모의 자궁 수축시에 근육이 땅겨지면서 태반과 탯줄이 조여지거나 탯줄이 엉키게 될 경우 태아에게 공급되는 산소가 부족할 수 있다. 그 외에 태반이 출산 전에 분리되었을 때 산모에게 투여되는 진정제가 태반장벽을 통과하여 아기의 호흡을 방해하거나 아기가 출산 시에 먹게 되는 양수가 목구멍에 걸리는 경우에도 산소결핍증이 발생할 수 있다. 산소결핍증은 분만 시간이 너무 길어지거나 출산 후 아기의 호흡체계가 제대로 기능하지 않을 때에도 일어날 수 있는데, 호흡이 3분 이상 지체된다면 영구적인 뇌손상을 입을 수 있다. 산소결핍증을 가볍게 경험한 아기들은 생후 3년 동안 운동발달과 지적 발달 검사에서 평균 이하의 점수를 받는다. 그러나 이 같은 결함은 점점 줄어들.. 2023. 2. 7.